posted by silverstone236 2014. 12. 23. 16:04

천안함 병기병 “사고순간 ‘충돌음, 길게 찢기는 소리’ 들었다”
[천안함 공판] “뭐가 와서 쿵하고 때리는 소리”…합조단 보고서는 ‘폭발음’으로 기술

 

천안함 사고당시 생존자들이 수중폭발로 인한 폭발음을 들었다고 기술한 국방부 합동조사단 보고서 내용과 달리 충돌음과 함께 뭔가 찢겨지는 소리를 들었다는 증언이 나와 주목된다.

천안함 사고당시 병기병이었던 안재근씨는 22일 서울중앙지법 형사36부(재판장 유남근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신상철 서프라이즈 대표(전 천안함 합조단 민간조사위원)의 명예훼손 사건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충돌음과 찢겨지는 소리를 들었다고 증언했다.

안씨는 사고당시 “41포 RS실에서 당직근무를 서고 있었다”며 “‘쾅’ 하는 충돌음 소리 뒤엔 길게 찢겨지는 소리가 났다”고 말했다. 그는 ‘쾅’ 하는 충돌음에 대해 “충돌하는 느낌인지는 모르겠고, 뭐가 와서때리는 소리였다”며 ‘그 다음에 끼익하며 찢어지는 느낌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느낌은 모르겠으나 소리는 그랬다”고 진술했다.

사고당시 자신의 상태에 대해 안씨는 “나는 오른쪽으로 튕겨나가 정신을 차려보니 어두워 후레시로 비췄다. 손전등을 개인적으로 휴대하고 있었다”며 사고직후 선체가 빠른 속도로 기울었던 것 같았다고 답변했다.

 

 

천안함 함수 인양작업 사진

 

 

찢어지는 소리가 났다는 것은 이 법정에서 처음 얘기한 것이냐는 김형태 변호사의 신문에 안씨는 “아니다. 언론과 인터뷰했을 때도 얘기했는데 (어떤 내용으로 보도가 났는지) 기사를 정확히 챙겨보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 같은 증언을 두고 검사가 “찢어지는 소리가 긁혀서 흠집이 나는 소리였는가, 두동강이 나는 소리였는가”라고 신문하자 안씨는 “배가 부서지고 뜯겨져 나가는 소리였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배가 찢어졌을 때나 배가 바위에 부딪혔을 때 나는 소리를 직접 목격하거나 들어본 경험이 있느냐’는 이어진 재판장의 신문에 김씨는 “없다. 내가 느꼈던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쿵하는 소리가 충돌음과 폭발음 가운데 어디에 가까웠느냐’는 검사의 재차 추궁에 안씨는 “그것까지는 정확치 않다. 쿵하는 소리였다”고 답변했다.

이 같은 증언을 합조단 보고서는 ‘폭발음’으로 기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합조단은 천안함 최종 보고서 122쪽에서 병기병은 “‘꽝’하는 소리와 함께 함정이 우현으로 기울고 함미가 찢겨져 나가는 듯한 ‘꽈∼앙’ 소리를 청취하였다”며 폭발음을 2회 청취하였다고 진술했다고 썼다. 쾅 소리를 폭발음으로, 강철이 찢겨지는 소리를 꽈앙으로 묘사해 미묘하게 혼란을 준 것이다. 병기병의 진술요약문에도 “‘쾅’ 하는 소리 후 배가 기우는 동안 함미가 찢겨지는 듯한 ‘콰~아앙’ 하는 소리가 계속 났고”로 기재돼 있어 폭발음이라는 말은 없다.

 

 

 합조단 보고서 122쪽 일부.

천안함 승조원위치. 사진=합조단 보고서

 

 

사고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했느냐는 검사의 신문에 대해 안씨는 “무기교육도 받은 병기병이었기 때문에 군함을 한방에 침몰시킬 수 있는 것은 어뢰 뿐이라고 구조활동을 하던 중에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천안함 생존장병 가운데 가장 먼저 제대한 전준영씨(견시병-사고순간엔 휴식중)는 이날 같은 법정에 출석해 “사고직전인 9시16분에 눈을 떴다”며 사고순간에 대해 “쾅 소리 한번이었다”고 증언했다.

한편, 최원일 함장이 구조된 직후 생존 승조원들에게 사고원인에 대한 함구령을 내렸다고 증언한 것과 관련해 안재근씨는 “(핸드폰 수거지시는) 있었던 것 같다”며 함구령 여부에 대해서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posted by silverstone236 2014. 11. 29. 01:10

"천안함은 잠수함과 충돌" 연구논문 나와

 

천안함 침몰에 관한 정부 민·관합동조사단의 결론에 과학적인 의문이 다시 제기됐다. 경성대 김황수 명예교수(물리학)와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머로 카레스타 연구원(기계공학)은 국제학술지 '음향학과 진동학의 진전(Advances in Acoustics and Vibration·AAV)' 최신호에 기고한 공동연구논문을 통해 천안함이 113m 길이 정도의 잠수함과 충돌해 침몰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어뢰로 두동강 난 천안함의 형광등이 아무 이상없이 매달려 있다. 합조단은 특수 형광등이라 주장


김 교수와 카레스타 박사는 '무엇이 정말로 천안함 침몰을 일으켰나?'라는 제목의 연구논문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논문에 따르면 천안함 침몰 당시 백령도에서 기록된 지진파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대형 잠수함의 축-진동 고유진동 주파수 스펙트럼과 일치함을 보였다. 군 당국에서 언론에 공개한 반파된 천안함의 열상감지장치(TOD) 동영상들을 분석한 결과 반파된 함수의 표류속도가 조류속도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데다가 200도 가까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사실도 확인됐다.

논문은 이같은 사실은 반파된 함수가 자체 기동이 가능한 함체에 실려 의도적인 항적에 따라 표류했음을 말해준다면서 천안함은 잠수함과 충돌한 뒤 함수 부분이 우연히 잠수함 선체에 걸친 상태로 함수 장병들이 구조된 장촌 앞바다까지 이동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잠수함의 길이(113m)는 침몰 관측된 지진파의 기본주파수 8.5Hz를 토대로 계산한 것으로 오차 범위가 10% 정도이다. 연구분석 작업에는 잠수함 모델이 동원됐다.

논문은 천안함 선체가 반파되면서 침몰했지만, 잠수함은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잠수함의 선체는 6㎝ 이상의 고강도 강철로 제작된 반면에 천안함 선체는 1.2㎝의 강철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인양된 천안함 선체의 함수와 함미의 변형된 형태 역시 충돌이론으로 어렵지 않게 설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와 카레스타 박사는 논문의 결론에서 "46명의 생명을 빼앗은 천안함의 침몰 원인에 대해 여전히 명확하고 결정적인 설명이 없는 상황에서 이러한 분석 결과가 새로운 원인 조사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집트 카이로와 뉴욕 등지에 사무실을 둔 힌다위 출판이 운영하는 AAV은 음향학과 진동학 분야의 창의적인 연구논문을 심사대상으로 하는 국제학술지로 논문의 채택률은 30% 정도이다.